본문 바로가기
경제

미국, 중국에 최대 125% 관세 인상! 그런데 4/10 왜 주가는 상승했을까?

by .B 2025. 4. 10.
반응형

미국, 중국에 최대 125% 관세 인상! 그런데 왜 주가는 상승했을까?

2025년 4월 10일, 미국 증시는 깜짝 상승했습니다. 그런데 같은 날, 미국은 중국에 대해 전기차·배터리 등 핵심 산업에 최대 125%의 고율 관세 부과를 결정했죠.
'무역전쟁'이란 단어까지 떠오르는 이 뉴스에… 시장은 오히려 웃었습니다.
왜일까요?

 

 

🔍 왜 주가는 올랐을까?

  1. ‘트럼프 리더십’에 대한 선반영
    트럼프의 대선 승리 가능성이 높아지면서,
    시장은 그의 정책 방향에 ‘익숙해지고 있다’는 해석이 나옵니다.
  2. 미국 내 생산 기업의 반사이익 기대
    전기차·배터리 등 중국의 초저가 제품이 미국 시장에 들어오기 어려워지면,
    미국 내 제조 기반 기업이 수혜를 받을 거란 기대가 커졌습니다.
  3. 정책의 ‘예측 가능성’ 부각
    오히려 명확한 정책 방향이 시장엔 안정감을 준 측면도 있습니다.

 

💣 그런데… 이건 장기적으로 안전할까?

NO. 장기적으로는 ‘진짜 무역전쟁 시즌2’의 시작일 수 있습니다.

1. 중국도 이미 미국산 제품에 보복관세 중

  • 최근 중국은 미국산 자동차 및 반도체에 대해 보복성 관세를 부과했습니다.
  • 이제 미국도 ‘맞불’을 놓은 상황.

즉, 단순한 관세가 아니라 정치·경제 패권 전쟁이 다시 시작된 것입니다.

2. 공급망 교란 → 글로벌 경기 위축

  • 중국은 여전히 세계 최대의 생산국.
  • 미국이 차단에 나서면, 결국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립니다.
  • 특히 **신흥국 수출 중심 국가들(예: 한국, 대만)**은 타격을 입기 쉬워요.

3. 미국 소비자 물가 상승 → 인플레이션 압박 재개

  • 중국산 저가 제품이 빠지면, 결국 미국 내 가격은 오릅니다.
  • 이는 연준의 금리 인하에 부담을 주고,
    장기적으론 시장에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어요.

 

 

✅ 우리는 이렇게 대응하자

1. 오늘 같은 단기 반등은 ‘분할 매도’로 대응

  • 너무 긍정적으로만 해석하긴 위험해요.
  • 기술적 반등 구간을 분할 매도로 소화하세요.

2. 방어주 + 현금 확보 + 美 생산 중심 기업 주목

  • 📌 헬스케어, 필수소비재, 통신 등 경기방어주
  • 📌 Made in USA 테마 (국내 제조, 인프라 투자 기업)
  • 📌 불확실성 커질 땐 현금이 ‘무기’예요

3. 글로벌 ETF 비중 조정, 신흥국 비중 축소 고려

  • 미중 갈등이 격화되면 EM(신흥국 시장) 전반의 위험 프리미엄 증가
  • ETF 내 중국·아시아 비중 확인해보고, 리밸런싱 필요

 

 

B.의 마무리 요약

  • 트럼프의 관세 강화는 일시적 호재, 장기적 불확실성의 시작
  • 시장은 단기 반응 중이지만, 실물 경제는 이제부터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큼
  • 우리는 지금, **‘변동성 장세에 맞는 방어 전략’**을 가져가야 할 때
반응형